소아 백신
2009.09.24 4103 관리자
최근 국내에 폴리오 사백신(IPV), 개량 DTP(3원성-DTaP), 폐구균 단백 결합 백신, A형 간염 백신, 일본뇌염 생백신과 Td 백신 등의 새로운 백신이 수입되어 접종되고 있다.
이러한 백신은 감염병 예방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나 올바른 활용을 위한 이해가 필요하다.
폴리오 사백신(IPV)
기존의 경구용 폴리오 생백신(OPV)은 가격이 저렴하며 투여하기 쉽고 면역효과가 우수하나 드물게 백신 관련 마비성 폴리오나 변종 바이러스를 유발하여 문제가 되고 있다. IPV를 4회 접종하면 방어면역이 장기간 유지되며 기초접종인 2, 4, 6개월에는 IPV, 추가접종은 OPV를 이용하는 것도 비교적 안전한 방법이다.
개량 DTP(3원성-DTaP)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혼합백신으로 과거 예방접종에 의한 사망이나 중증 장애가 가끔 보고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줄이기 위하여 백일해의 병원성 항원을 이용한 백신이 개발되어 왔으며 현재에는 2원성 및 3원성의 다양한 제제가 사용되고 있다.
DTaP 백신은 기초접종(2, 4, 6개월), 추가접종(18개월, 4 ~ 6세) 등 총 5회 접종을 하는데 제조사에 따라 백일해 구성 항원의 종류 및 용량이 다르므로 특히, 기초접종에서는 동일 제조사 백신으로 접종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추가접종은 교차접종을 하여도 방어면역 획득에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평가된다.
Td 백신
어릴 때 DTaP 백신 접종 후 12세경부터 시작해서 매 10년 간격으로 Td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정상적인 방법이나 국내에는 관련 백신이 올해 도입되었으며 그동안 감염관리에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12세 이상의 청소년과 성인은 일단 모두 접종을 해야 하며, 고가의 파상풍 면역 글로불린(TIG)은 오염된 상처에 제한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폐구균 단백 결합 백신
기존의 다당질 백신은 폐렴이나 뇌막염 등의 침습성 폐구균 감염에 60 ~ 70% 정도의 방어효과가 있으며 가장 위험성이 높은 2세 이하의 소아에서는 면역원성 및 예방효과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폐구균 다당질에 운반체 단백질을 결합시켜 만든 단백 결합 백신은 2세 이전의 소아에서도 우수한 방어면역이 획득될 뿐 아니라 중이염 발생의 감소에도 임상적 유효성이 입증되었다.
미국에서는 2001년부터 기본접종으로 분류하여 기초접종(2, 4, 6개월), 추가접종(12~15개월)에 시행하고 있으며 국내에는 2003년 말에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다.
인플루엔자 백신
인플루엔자 백신에는 최근에 유행한 A형 2가지 즉 H1N1 및 H3N2와 B형 등 3가지 바이러스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사백신은 전 바이러스(whole virus), 분할(split) 백신 등이 있으나 국내에서는 예방 효과가 다소 낮으나 부작용이 적은 분할 백신이 주로 사용된다.
면역성 획득이 좋은 비강 분무형의 생백신도 개발되어 미국, 러시아 등의 지역에서 이미 사용 중이나 국내에는 아직 도입되지 않았다. 과거에는 접종 대상이 천식이나 심장병을 가진 소아, 당뇨병이나 신장의 만성 질환, 65세 이상의 노인 등과 같은 주로 합병증이 잘 생기는 사람들이었으나 감염되면 입원율이 높은 2세 이하의 소아나 유행 시기에 감염률이 가장 높은 유치원 및 학동기 소아, 병원 종사자도 반드시 접종하는 것이 좋다.
또한 독감은 전염성이 강하며 예방접종의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고 큰 부작용이 없는 이유로 점차 일반 정상인에게로 접종대상을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혼합 백신
혼합 백신은 한번 접종으로 여러 종류의 면역원성을 얻을 수 있어서 개발이 계속 진행되고 있다. 현재까지 주로 DTaP, IPV, B형 간염,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균(Hib) 등에 대한 것이 개발되었으며 국내에는 B형 간염-Hib (ComvaxR)가 사용되고 있다.
이 백신은 생후 2개월 지나서 사용할 수 있으며 B형 간염에 대한 항체 생성이 단독 백신에 비해 떨어지나 방어면역을 상회하는 항체가 생성되므로 실제 사용에는 문제가 없다.
· 소아청소년과 김천수 교수 · 상담 및 문의 : (053)250-7524 |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41931 대구광역시 중구 달성로 56
대표전화 : 053-250-8114팩스 : 053-250-8025
COPYRIGHT (C) KEIMYUNG UNIVERSITY DAEGU DONGSAN HOSPITA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