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파부종
2009.09.25 4855 관리자
선천적인 임파부종은 태아 시기 혈관조직이나 임파조직이 만들어질 때 문제가 생겨 발생되는데 출생시기부터 전혀 임파계가 없거나 부족한 경우가 80% 이상으로서 그 정도에 따라 부종증상이 출생시부터 나타나거나 대략 35세 전후로 나타나게 된다.
후천적인 임파부종의 가장 흔한 원인은 암 치료를 위해 수술시 임파조직을 제거하거나, 방사선 치료 후 발생하는 경우이다.
여자의 경우는 자궁암이나 유방암, 남자의 경우는 고환암이나 전립선암이 가장 많고, 임파암이나 기타 감염에 의해서도 생길 수 있다.
임파부종은 언제부터 어떤 양상으로 발병하였는지 상세히 아는 것이 중요하며, 핵의학 임파조영검사에 의해 이상 유무와 정도를 진단한다.
임파부종은 어떠한 치료법으로도 한번에 완치될 수 있는 질환은 아니다. 고혈압이나 당뇨병과 같이 지속적으로 조절해야 하는 만성 질환이다. 임파부종의 치료 목적은 우선 부종으로 인한 무게 및 부피의 증가를 줄여 일상생활에서의 장애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또한 남아있는 임파조직이나 새로 생성된 우회 임파관을 최대한으로 보호 유지하는 것이 치료의 목적이다.
재활의학과의 복합적 임파부종 물리치료 (Complex Physical Therapy)
동산병원 재활의학과 ‘임파부종전문진료’에서는 다양한 탄력스타킹을 이용, 정확한 압력 펌프치료 시행, 피부 관리법에 대한 교육, 임파부종 마사지, 특수 압박 붕대법 및 적절한 운동법으로 구성된 복합적 임파부종 물리치료를 도입하여 단계별로 실시하고 있다.
복합적 임파부종 물리치료는 피부관리 및 염증치료, 특수 마사지법(임파관 우회수송법), 특수 압박붕대법, 특수 운동법 등의 네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피부관리
무좀은 많은 환자들이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경우가 많으나 실제로는 무좀에 의한 이차적 세균감염이 임파부종의 직접적인 발병 원인이 된 경우도 있으며, 이미 임파부종이 있는 다리에서 염증에 의한 부종 악화가 초래된 경우도 빈번하다.
특수 마사지법
임파부종 마사지법은 복합적 물리치료의 가장 핵심이 되는 방법이다.
치료기간 중 임파부종이 있는 팔 또는 다리에 최소 30~40분 이상 시행함으로써 부종이 감소되고 단단해진 조직이 유연해지고 얇아지는 등의 피부 변화가 초래된다.
기존의 마사지법과 달리 몸통을 먼저 마사지 하여 임파액의 배출을 도운 후 부종이 있는 사지를, 특히 팔다리의 근위부부터 시행 후 말단부로 마사지를 하게 된다.
특수 압박붕대법
압박붕대법은 임파부종의 치료에 매우 유용하며 붕대를 감은 부위의 조직압이 상승되어 부종의 생성을 감소시키며, 또한 임파액의 흐름을 증진시켜 결과적으로 부종이 감소되게 된다.
특히 움직이고 운동을 할 때 조직압을 높여 임파액의 흐름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탄력 붕대가 아니라 탄성이 적은 붕대를 사용해야 한다. 탄성이 적은 붕대는 잘 늘어나지 않으므로 수축되어 커진 근육과 붕대 사이에서 피부 조직에 있는 임파관들이 주기적으로 압박되어 펌프 작용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특수 운동법
지금까지 대부분의 환자들은 운동을 하면 부종이 증가되므로 부종이 생긴 팔, 다리는 가능한 움직이지 않는 것이 좋다고 생각해 왔을 것이다.
그러나 사실상 적절한 운동은 임파계의 펌프작용을 활성화시키고 관절을 유연하게 하며 근육이 위축되는 것을 막아주므로 반드시 필요하다.
특수 운동법은 임파절 마사지, 몸통과 사지의 근위부 및 원위부의 다양한 등척성 운동, 등장성 운동들로 구성되었는데 대략 30분 정도 소요되고 1일 1~2회 정도 하면 된다. 이때 환자의 연령, 부종 정도 등에 따라 환자에게 맞도록 조절하기도 한다.
특수운동을 할 때 환자들은 반드시 붕대를 감은 상태(또는 고압력 스타킹 착용상태)에서 수행해야 하며 운동의 정도는 환자 개개인에 따라 다르나 기본적으로 운동 후 통증이나 심한 피로감 또는 부종이 더 발생하지 않는 정도로 행해져야 한다.
임파부종 치료시 많은 환자들이 이처럼 운동을 하고 일상생활에서 팔, 다리를 많이 쓰는데도 부종이 증가하지 않는 사실에 매우 놀라며 적극적인 삶의 태도를 되찾게 되는 모습을 종종 보게 된다.
· 재활의학과 이소영 교수 · 상담 및 문의 : (053)250-7264 |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41931 대구광역시 중구 달성로 56
대표전화 : 053-250-8114팩스 : 053-250-8025
COPYRIGHT (C) KEIMYUNG UNIVERSITY DAEGU DONGSAN HOSPITA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