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동맥 폐색증
2009.10.08 5164 관리자
흔히 다리가 아프면 정형외과나 신경외과 등을 찾는다. 실제로 다리가 아픈 환자의 다수가 근·골·관절계나 척추에 원인이 있어 정형외과나 신경외과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는데 대표적인 경우가 바로 만성 동맥 폐색증에 의한 파행증이다.
관절에 의해 다리가 아프면 관절부위의 통증이 나타나므로 어느 정도 구별이 된다. 하지만 만성 동맥 폐색증에 의한 파행증과 척추 협착증이나 추간판 탈출증 등으로 신경이 눌려 발생하는 파행증은 서로 구별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또 노인에 흔하고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가 많아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다.
만성 동맥 폐색증으로 좁아지거나 막힌 부위 아래는 혈류가 감소하게 된다. 다리를 움직이지 않을 때는 아무 증상이 없지만, 걷거나 뛸 때는 혈류 공급이 근육의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게 된다. 더욱이 정상적인 동맥은 운동시 확장이 일어나 더 많은 혈류를 공급하게 되는데 병든 혈관은 이러한 확장이 일어나지 않아 혈류 부족이 확연히 나타나게 된다. 이렇게 가만히 쉬고 있을 때는 통증이 없지만, 폐색의 정도에 따라, 일정한 거리를 걷고 나면 증상이 발생하는 것을 ‘파행증’이라 한다.
이 아픈 증상은 걸음을 멈추고 2~3분만 쉬면 감쪽 같이 없어지고 늘 비슷한 정도의 거리를 걸으면 통증이 유발되는 것이 특징이다. 통증의 부위는 주로 장딴지에 나타나지만 폐색부위에 따라 다를 수도 있다. 폐색의 정도가 심할수록 짧은 거리를 걸어도 증상이 나타난다.
척추 협착증이나 추간판 탈출증에 의한 파행증(신경원인성 파행증)은 걷지 않아도 통증이 있는 경우가 많고 자세에 따라 증상이 변하는데 동맥 폐색에 의한 파행증은 자세와는 상관이 없다. 또 신경원인성 파행증은 몸의 상태에 따라 통증이 나타나는 거리도 다양하고 오히려 걸으면 증상이 덜하기도 한다.
파행증 외에도 장기간의 혈류 감소와 이로 인한 영양 부족으로 근육 위축이 일어나고, 발에 나는 털이 소실되고, 피부가 약해지고 번들거리며, 발톱은 쉽게 부러지면서 두꺼워진다. 폐색의 정도가 심해지면 산소나 영양 공급의 부족으로 작은 상처가 생겨도 낫지 않고, 저절로 발가락이 헐거나 썩게 되고(허혈성 궤양 및 괴사, 그림참조), 심하면 가만히 쉬고 있는 상태에서도 통증이 있게 된다.(휴식시 통증)
이렇게 혈관이 막히는 원인은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지만 동맥경화가 주된 원인이고 30~40대 흡연자에서 나타나는 버거씨병, 동맥색전증 등이 있다. 동맥경화는 흡연,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 등이 위험인자이므로 동맥경화증과 그로 인한 파행증의 치료는 각 환자 별로 위험인자를 낮추는 데서부터 시작된다.
이러한 파행증 환자들이 다리를 절단하는 경우가 10년에 15% 정도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파행증에 대해 수술 치료를 하지 않는다. 하지만 생활을 심하게 제한하는 파행증이나 다리를 잃을 위험성이 있는 휴식시 통증이나 발의 궤양이나 괴사가 있을 경우 수술이 필요하다.
수술적 방법 외에 혈관 조영술을 시행하면서 좁아진 혈관내로 가는 관을 넣어 그 끝에 부착된 풍선으로 좁아진 부분을 넓혀주고 필요에 따라 특수 금속망인 스텐트를 넣어 주는 방사선과적 중재시술이 있다. 이는 가는 혈관보다는 굵은 혈관, 이환된 길이가 긴 경우보다는 짧은 경우, 완전히 막힌 경우보다는 좁아진 경우에 더 효과가 있다. 그러나 환자의 연령이나 동반된 질환 등으로 인해 수술을 하기 힘든 경우에는 확대 적용하기도 한다. 동맥경화증은 계속 진행하는 질환이기에 이를 막거나 진행 속도를 늦추기 위해 위험인자에 대한 조절과 운동을 계속하여야 하고 아스피린 같은 항혈전제를 비롯한 약물을 지속적으로 복용하여야 한다.
동맥경화증에 의한 파행증에 우리가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 중 중요한 것은 동맥경화증은 우리 몸의 혈관은 모두 이환될 수 있다는 것이다. 심장으로 가는 관상동맥에 동맥경화가 발생하면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이 올 수 있고 머리로 가는 경동맥에 발생하면 중풍이 올 수 있다. 그러므로 파행증이 나타나면 다리로 가는 동맥뿐만 아니라 심장이나 경동맥에 대한 조사를 병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 김형태 교수 / 이식혈관외과
● 상담 및 문의 : (053)250-7324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41931 대구광역시 중구 달성로 56
대표전화 : 053-250-8114팩스 : 053-250-8025
COPYRIGHT (C) KEIMYUNG UNIVERSITY DAEGU DONGSAN HOSPITA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