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통증
2009.10.08 4812 관리자
일반적으로 허리통증은 감기 만큼이나 흔한 질환으로 알려져 있으며 실제적으로 특별한 치료를 받지 않아도 80~90%의 환자들은 저절로 좋아지게 된다. 그러나 일부 환자들 중 6개월 이상 그 통증이 지속되고, 치료에도 불구하고 좋아지지 않는다면 전문의와 상담하에 정확한 원인을 밝히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허리통증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은 매우 다양하여 이를 정확히 밝히는 것이 훌륭한 통증 완화를 위해 필수 요소임은 두말 할 나위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일부에서 원인을 밝히기 어려운 경우가 있기도 하지만 최근 소개된 정밀 진단법(MRI, PET-CT, 핵의학검사)에 의해 대부분 밝혀지게 된다.
알려진 허리 통증의 원인으로는 추간판 탈출증, 요척추관 협착증, 추간관절 증후군, 추간판 내장증, 척추수술 실패증후군, 골다공증성 압박골절 등이 있으나 질환에 따라 환자의 증상이 조금씩 다르므로 감별진단이 매우 중요하다.
추간판 탈출증은 흔히 디스크라는 질환으로 잘 알려져 있으나 사실 디스크는 요추뼈와 뼈사이에 있는 물렁뼈를 의미하는 해부학적 명칭이다. 나이가 들면서 디스크에 퇴행과정이 일어나게 되면 디스크 중심부에 있는 수핵이 흘러나오게 되고 흘러나온 수핵이 주위 신경조직을 눌러 통증을 일으키게 된다. 초기에는 허리만 아프지만 진행하게 되면 수핵에 눌린 신경근의 분절을 따라 다리에도 통증을 느끼게 된다.
요척추관 협착증은 노인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퇴행성 척추 질환 중의 하나이며, 추간관절, 황색 인대의 비후, 퇴행성 디스크 질환에 의해 척추관이 좁아지는 질환이다. 디스크와 마찬가지로 초기에는 허리 통증만을 느끼다가 진행되면 조금만 걸어가게 되면 다리가 저리고 당겨와 앉아야만 통증이 완화되는 현상을 보게 되며 이를 신경인성 파행이라고 한다.
추간관절 증후군도 허리 통증을 일으킬 수 있는 질환 중의 한가지이며 특징적으로 통증이 허리에서 시작하나 무릎 밑으로 내려가는 경우는 잘 없다. 디스크성 요통과는 반대의 임상양상을 가지며 주로 허리를 앞으로 숙이면 편해지고 뒤로 젖히면 통증이 발생할 수 있으나 이와 맞지 않는 경우도 있다. 가장 정확한 진단은 이학적 검사와 함께 추간관절을 지배하는 후지내측지 신경을 차단해보는 것이며 만일 50% 이상의 통증 완화가 있다면 해당 신경분절에 고주파 열응고술을 시행할 수도 있다.
추간판 내장증은 대부분의 환자에서 외상의 병력이 있으며 외상에 의해 추간판 내부가 파열되는 질환이다. 환자는 지속적이고 참을 수 없을 만큼의 허리 통증이 있으나 시행한 MRI, CT 상에서는 특별한 이상 소견을 발견할 수가 없어 원인도 모르고 환자가 고통 받을 수 있는 질환이다. 추간판 내장증의 진단은 디스크 조영술이며 조영술 후 CT로 더욱 잘 알 수 있게 된다.
척추수술 실패증후군도 심한, 지속적인 요통을 일으킬 수 있는 통증질환 중의 한 가지이며 일반적인 약물요법, 일회성 신경차단요법에 대부분 불응성인 경우가 많아 치료가 난관에 빠지는 경우가 있다. 기존의 치료에 모두 실패할 경우 최근 소개된 척수자극기 시술후에 국내외적으로 훌륭한 치료 성적이 보고되고 있다.
인구의 노령화와 함께 골다공증성 척추압박 골절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사실 골다공증 자체가 통증을 일으키지는 않으나 이로 인해 발생한 골절은 심각한 통증과 기능장애를 초래한다. 특히 척추에 발생한 압박골절은 그 중증도에 따라 꼼짝도 못하고 침대에 누워서 지내는 경우부터 통증을 느끼기는 하지만 보행까지 가능한 경우도 있다. 통증은 특징적으로 환자가 움직일 때마다 악화되며, 돌아누울 때, 앉았다가 일어나는 순간 가장 심한 통증을 느끼게 된다. 압박 골절은 통증뿐만 아니라 외형상 척추 후만을 초래할 수 있어 가급적 조기에 적극적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다. 최근 소개된 경피적 척추 풍선 성형술은 골절부위에 인공 시멘트를 삽입하여 척추를 안정화시켜 통증완화를 초래함과 동시에 척추 후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허리 통증은 충분히 치료될 수 있으며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가급적 조기에 통증 전문의와 상담하에 그 원인을 확실히 하고 그에 따른 순차적인 치료를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홍지희 교수 / 통증클리닉
● 상담 및 문의 : (053)250-7389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41931 대구광역시 중구 달성로 56
대표전화 : 053-250-8114팩스 : 053-250-8025
COPYRIGHT (C) KEIMYUNG UNIVERSITY DAEGU DONGSAN HOSPITA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