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통증
2009.10.08 5296 관리자
▶ 어깨 힘줄 손상(회전근 개 손상)이란?
어깨에는 ‘회전근 개’라고 부르는 독특한 힘줄이 있다. 즉, 어깨뼈에서 시작하여 팔뼈의 맨 위쪽 부분에 붙는 극상근, 극하근, 견갑하근, 소원형근 등의 네 개의 근육이 있으며, 이 네 개의 근육에서 시작한 네 개의 힘줄이 마치 하나의 힘줄처럼 합해져서 팔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팔뼈를 위쪽에서 덮고 있는 형태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이 네 개의 힘줄을 모두 합해서 ‘회전근 개’라 부른다. 이 ‘회전근 개’는 우리 몸에서 유일하게 뼈와 뼈 사이, 즉 어깨뼈와 팔뼈 사이를 지나 다니기 때문에 힘줄과 뼈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서 점액낭이 존재하는데 이 부위에 지속적인 마찰로 인해 염증이 생기면 견봉하 점액낭염 또는 충돌 증후군이 생기게 되고, 이것이 반복되면 회전근 개 파열로 진행되는 과정을 어깨 힘줄 손상(회전근 개 손상 또는 회전근 개 질환)이라 부른다.
▶ 증상
어깨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들 중 대부분은 ‘오십견’이라 자가진단을 하고 엉뚱한 치료만 하다가 시기를 놓쳐 아예 팔을 못쓰게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수개월간의 어깨 통증이 지속되는 경우는 반드시 정형외과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회전근 개 손상은 최근 스포츠 활동의 증가로 인해 30~40대에 발병하는 경우가 있으나, 50대 이상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가장 흔한 증상은 통증이다. 통증은 주로 어깨 부위에 발생하며, 어깨 중에서도 팔 위쪽의 바깥 부분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어떤 환자는 어깨보다는 팔에 병이 있다고 생각하기도 한다. 또한 밤에 통증이 심해지는 경향이 있어서 아픈 어깨 쪽으로 눕기가 힘들며, 심할 경우 잠을 이루기가 힘들거나 자다가 깨는 일도 있다. 이런 증상이 계속되면 점차 팔과 어깨를 옆으로 들거나(외전) 등 뒤로 팔을 돌리기가 힘들어지고 심하면 어깨 관절 운동의 제한 및 근력 약화가 동반될 수 있다.
▶ 원인
회전근 개 자체의 혈액순환장애나 노화 등의 퇴행성 변화와 돌출된 어깨뼈의 앞 부분과의 반복적 충돌에 의해 파열이 생긴다는 두 가지 이론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드물지만 외상에 의해서도 생길 수 있다.
▶ 진단
회전근 개와 관련된 질환은 정확한 병력, 진찰 검사, 엑스레이 검사로 진단할 수 있으나, 정확한 파열 양상이나 정도는 초음파나 MRI로 확인할 수 있다. MRI 등의 정밀검사는 오십견과의 감별 진단에 도움을 주고, 향후 치료에 대한 예후를 판단할 수 있으며 증상과 연관시켜 수술적 여부 등의 치료 방침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검사다.
자연 경과 : 대부분의 증상은 운동, 약물, 물리치료 등으로 약 80% 정도가 좋아진다. 그러나 통증은 줄어 들 수 있으나, 파열 그 자체는 다시 재생되지 않는다. 파열 후 시간이 지나면서 극심한 통증은 없어질 수 있으나, 대부분의 환자가 어깨나 머리 위로 다시 움직일 때 증상이 재발되어 악화와 호전을 반복하게 된다. 또한 작은 파열은 진행할 수 있으며, 광범위 파열의 경우에는 통증은 없을 수도 있으나 점진적인 근력 약화가 동반되며, 치료를 받지 않고 오래된 경우는 견관절 관절염으로 진행된다.
▶ 치료
증상이 오래 되지 않았거나 심하지 않는 경우에는 증상을 악화시키는 활동을 자제하고 안정, 약물요법, 주사요법, 물리치료 등의 비수술적 치료로 증상이 해결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치료 중에 일반적으로 시행하는 운동은 오히려 증상을 악화시킬 수도 있으며, 운동은 통증이 어느 정도 가라앉은 상태에서 시행하는 것이 안전하다. 3~6개월 동안 충분하고 적절한 비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음에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수술적 치료는 관절내시경을 이용하여 1cm 정도의 구멍을 3~4개 만들어 염증이 있는 조직들을 제거하고 회전근 개와 부딪히는 어깨뼈 앞부분을 다듬고 난 후 파열된 힘줄을 다시 팔뼈에 연결하는 것으로, 약 90% 정도의 성공률을 보고하고 있다.
회전근 개 손상은 다른 질병과 마찬가지로 조기진단이 중요하므로 수개월 동안의 어깨 통증이 지속될 경우 정형외과 전문의에 의한 정확한 진단 및 처방이 필요하다.
● 조철현 교수 / 정형외과
● 상담 및 문의 : (053)250-7204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41931 대구광역시 중구 달성로 56
대표전화 : 053-250-8114팩스 : 053-250-8025
COPYRIGHT (C) KEIMYUNG UNIVERSITY DAEGU DONGSAN HOSPITAL. ALL RIGHTS RESERVED.